EC2 인스턴스에 연결된 가상환경을 실행한 후, Git을 설치해 보자.
(참고 : https://mei-99.tistory.com/26 )
AWS EC2 Linux에 Git 설치하고, github.com의 respository 연동하기
- Git 설치하기
1. (st_310) 가상환경 내에서 명령어로 Git 설치
'yum'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Git을 설치하기 위해,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을 설치한다.
$ sudo yum install git
* sudo(superuser do) : 슈퍼유저 권한(관리자 권한)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
* yum : 리눅스 시스템에서 패키지 설치 및 관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도구
Is this ok에 y 입력해 주면, 설치가 된다.
그러나 만약, yum update 오류가 난다면 update - upgrade 후 재설치 해 본다.
$ sudo yum update
$ sudo yum upgrade # 실행 후 git 다시 설치해 본다
2, 깃 클론하기 전에 폴더 먼저 만들기
폴더명 : Github 로 폴더를 만든다.
$ mkdir Github
3. Git 클론하기
생성한 Github 폴더에서 git clone + 연동하고 싶은 나의 git url 주소를 넣어준다.
# 생성한 Github 폴더로 들어와서,
$ cd Github
# 연동시킬 나의 깃허브 url을 클론해준다.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yoonmir***/streamlit_car_price.git
4. 명령어 ll로 폴더 잘 만들었는지 확인
# 폴더 확인
$ ll
# 폴더 삭제
$ rm -rf 폴더명
# sh 파일을 여러개 만들었을 경우에 삭제 방법
$ rm 파일명
5. 앱 실행
생성한 디렉토리로 이동 후 앱 실행해 준다.
# 디렉토리 이동(Github 이동해 있는 경우)
$ cd 디렉토리 명
$ cd streamlit_car_price
# 디렉토리 이동(Github로 이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)
$ cd Github/streamlit_car_price
# 앱 실행
$ streamlit run app.py
Network URL은 나의 고유 ip로 이루어진 URL로 보안을 유지해주고,
External URL은 공용 URL 이다.
그러나, External URL 주소로 웹 브라우저가 실행이 안 될 수 있다.
이럴 경우, EC2 포트 처리와 방화벽 설정을 하지 않아서 진입이 불가능한 것이기 때문에, AWS EC2에서 방화벽(보안) 항목에서 포트 허용 추가를 해준다.